728x90

전체 글 217

[ SQL ] 고급 함수

오늘은 SQL의 고급 함수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려 합니다. 고급 함수로는 null값을 처리하는 함수, 비교 처리 함수(decode), 순위를 구하는 함수가 있는데, 순차적으로 알아봅시다. ■ NULL 처리 함수 null 처리 함수는 오라클 함수를 먼저 알고 넘어가는 게 좋습니다. 오라클 함수란, 특정한 결과 값을 얻기 위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특수 명령어를 의미합니다. 오라클 함수는 함수를 제작한 주체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내장 함수(built-in function) : 오라클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함수 입니다. (내장 함수는 입력 방식에 따라 데이터 처리에 사용하는 행이 나뉩니다.) 단일행 함수(single-row function) : 데이터가 한 행씩 입력되고, 입력된 각 행별로 결과가 하..

[ SQL ]/SQL 2023.02.02

[ SQL ] View_Index_Sequence

오늘은 SQL에서 지원해 주는 객체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려 합니다. ■ 뷰(View) SQL에서 뷰(view)는 다른 테이블에서 파생된 테이블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물리적으로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논리적으로만 존재하며, 뷰(view)를 사용한 질의 시에는 DBMS(DB 관리 시스템)에서 뷰의 정의를 잘 파악하고 필요시 재 작성하여 수행해야 합니다. 뷰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 View의 장단점 장점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을 제공합니다. 동일 데이터에 대해 동시에 여러사용자의 상이한 응용이나 요구를 지원해 줍니다. 사용자의 데이터관리를 간단하게 해줍니다. 접근 제어를 통한 자동 보안이 제공됩니다. 단점 독립적인 인덱스를 가질 수 없습니다. ALTER VIEW문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즉, ..

[ SQL ]/SQL 2023.02.01

[ SQL ] 테이블과 제약 조건(constraint)

이전 포스팅에서 트랜잭션과 서브 쿼리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테이블 생성 및 제약조건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려 합니다! ■ 테이블(table) 테이블이란 데이터 베이스에서 실제 데이터가 저장되는 곳입니다. 테이블에 대한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데이터베이스의 기본적인 데이터 저장 단위입니다.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 하며 n개의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테이블은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모든 데이터를 보유합니다.(레코드&칼럼으로 구성) 시스템 내에서 독립적으로 사용되길 원하는 엔티티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두 엔티티 간의 관계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 제약 조건(constraint) 제약 조건이란 데이터의 무결성을 지키기 위해, 데이터를 입력받을 때 실행되는 검사 규칙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제약 조..

[ SQL ]/SQL 2023.01.31

[ SQL ] Transaction and Sub Query

이본 포스팅은 트랜잭션의 기본 개념과 실무 SQL에서 정말 많이 사용하는 서브쿼리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려 합니다. ■ 트랜잭션(Transaction) 트랜잭션이란 '거래'라는 뜻으로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하나의 그룹으로 처리되어야 하는 명령문들을 모아 놓은 논리적인 작업 단위입니다. 데이터베이스 응용프로그램은 트랜잭션들의 집합으로 정의 할 수 있는데, 여러 단계의 처리를 하나의 처리처럼 다루는 기능입니다. 트랜잭션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여려 개의 명령어의 집합이 정상적을도 처리되면 정상 종료됩니다. 하나의 명령어라도 잘못되면 전체 취소 됩니다, 트랜잭션을 쓰는 이유는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복구하기 위함입니다. 트랜잭션이 필요한 이유는 안전성을 확보하는 방법으로 트랜잭션이 있는..

[ SQL ]/SQL 2023.01.30

[ SQL ] JOIN

이전 포스팅에서 SQL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함수를 활용하여 조인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고 기초적인 조인의 종류에 대해서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JOIN 이란? 조인은 '어울리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이 말대로, 데이터베이스에서테이블 간의 결합을 이야기 합니다. 즉, 두 개 이상의 테이블에 대해서 결합하여 나타낼 때 조인이라는 것을 이용하며, 조금 더 해석해 보자면 하나의 테이블로 원하는 칼럼 정보를 참조할 수 없는 경우 관련된 테이블을 논리적으로 결합하여 원하는 컬럼 정보를 참조하는 방법 1 ) 전제조건 논리적으로 결합되는 2개 이상의 테이블에는 반드시 공통 칼럼이 있어야 합니다. 공통 칼럼은 데이터 타입과 데이터가 동일해야 함 2 ) JOIN 형식 select 컬..

[ SQL ]/SQL 2023.01.22

[ SQL ] SQL 함수 정리

오늘은 SQL을 활용하기 전 자주 사용하는 함수들을 정리하는 글을 써보려 합니다. 어떤 일을 수행하는 기능으로써 주어진 인수를 입력받아 처리하여 그 결과를 반환하는 일을 수행하려면 함수를 활용해야 하기 때문에 유용한 함수들을 알아봅시다. ■ 함수의 종류 단일행 함수 : 결과 레코드를 찾아서 출력할 때마다 (각 행에) 함수가 적용됩니다. 문자함수 - 날짜함수 - 문자변환함수 - 숫자변환함수 - 날짜변환함수 - 시스템함수 - 숫자함수 등 복수행 함수[집계 함수, 그룹함수] : 조건절에 만족하는 모든 행을 다 찾고 나서 모든 레코드를 한 번에 연산합니다. count() : 레코드 개수 sum() : 합계 avg() : 평균 max() : 최대값 min() : 최소값 round(값, 소수점자리수) : 지정소수점..

[ SQL ]/SQL 2023.01.21

[ SQL ]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JAVA를 어느 정도 공부했다면 데이터 베이스 또한 알아둬야 하기 때문에 오늘부터 SQL에 대해서 포스팅을 시작하려고 합니다!! ■ SQL이란? SQL은 Structured Query Language의 줄임말로 구조화된 질의 언어이며, 자료를 관리 및 처리하기 위해 설계된 언어입니다. SQL은 1070년대 초에 IMB에서 최초 개발되었으며 관계형 모델이라는 이론에서 파생된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현재 SQL의 표준으로 ANSI SQL이 정립되었습니다. 각 DBMS 프로그램에서 ANSI SQL을 기반으로 개발된 개별 SQL을 사용하며 서로 근소한 차이를 보입니다. ■ NoSQL이란? NoSQl은 수없이 크고 작은 다양한 데이터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RDBMS와는 달리 임시 저장공간에 데이터를 저장..

[ SQL ]/SQL 2023.01.19

[ Java ] Lambda

CHAPTER 25. Lambda Expression 알아가기 오늘은 JDK1.8부터 추가된 람다식(Lambda expression)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려 합니다. ■ Lambda expression 람다식(Lambda expression)이란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표현법 입니다. 여기서 함수형 프로그래밍이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 나오기 전부터 있던 패러다임 중 하나로서 함수 안으로 들어오는 인자를 가지고 항상 불변한 결과를 돌려주는 것이 목적을 갖고 있습니다. 함수형 프로그램은 함수 내부 중괄호 안에 필요한 변수는 외부에서 받아오고 로직만이 존재하기 때문에 변수에 값이 할당되면 이후에 변하지 않고, 병렬처리나 이벤트 지향 프로그램에서 side effect가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즉, 람다식은 함수형..

[ JAVA ]/JAVA 2023.01.17

[ Java ] File 클래스

CHAPTER 24. file Class 알아가기 오늘은 java.io 패키지에서 기존의 파일이나 폴더에 대한 제어를 하는 데 사용하는 File 클래스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려 합니다! ■ Java File Class File 클래스는 파일에 대한 정보들을 파악하기 위한 메서드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파일을 생성하고 삭제하며 지정된 파일이 읽기 가능한지 또한 현재 디렉터리에 어떤 파일들이 있는지를 검사하는 다양한 메서드들이 File 클래스에 준비되어 있습니다. Filde 클래스를 간단하게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File 클래스 : 파일 또는 폴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클래스입니다. File 클래스 객체 : 정보를 조회하고자 하는 파일이나 폴더의 경로에 대한 문자열을 생성자 파라미터로 전달하는 형태로 ..

[ JAVA ]/JAVA 2023.01.16

[ Java ] Socket Programming

CHAPTER 23. Socket Programming 알아가기 오늘은 자바의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에서 소켓의 개념과 응용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려 합니다! 이전 포스팅을 보면 I/O Stream과 같은 메소드로 타입을 바꾸고 그 바뀐 타입으로 여러 가지 기본적인 통신을 알아보았습니다. 자 그런데 그 통신은 default 값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즉,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아주 기본적이고 단순한 구조의 통신이라는 정리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통신구조는 잘 알려져있어 보안에도 취약합니다. 그래서 나만의 통신구조를 설계하는데 그것을 바로 소켓 프로그래밍이라고 합니다. 그럼 하나씩 알아봅시다. ■ 프로토콜(Protocol) 프로토콜(Protocol)이란 서로 다른 컴퓨터 간의 의사소통을 위한 통신 규약입니다. ..

[ JAVA ]/JAVA 2023.01.1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