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JSON4

[ Spring Boot ] Bean Validation - HTTP Message Converter 오늘은 Bean Validation 검증 마지막 챕터인 HTTP Message Converter를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이전 포스팅으로 Bean Validation의 개념부터 Form 전송 객체 분리까지 알아봤습니다. [ Spring Boot ] Bean Validation 취업 후 회사 설루션 고도화 작업에 투입하면서 여러 가지 코드를 경험하고 기간 내에 끝내야 하는 상황이라서 포스팅을 신경 못쓰고 있었네요.. 오늘부터 포스팅을 다시 시작해보려고 합니다. drg2524.tistory.com [ Spring Boot ] Bean Validation - Form 전송 객체 분리 이전 포스팅에서 Bean Validation의 Groups 기능까지 알아봤습니다. 오늘은 이어서 Form 전송 객체 분리 방식에 .. 2024. 1. 4.
[ RESTful API ] SimpleBeanPropertyFilter 오늘은 RESTful API 공부하면서 커스텀 직렬화 로직을 작성할 때 활용한 SimpleBeanPropertyFilter를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SimpleBeanPropertyFilter 란? SimpleBeanPropertyFilter는 Jackson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필터링 기능 중 하나로, Java 객체를 JSON으로 시리얼 라이즈 할 때 특정 필드를 선택적으로 포함하거나 제외하는 데 사용됩니다. Java 객체를 JSON으로 변환할 때는 보통 객체의 모든 필드가 기본적으로 포함됩니다. 그러나 때로는 불필요한 정보를 제외하거나 민감한 정보를 숨겨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때 SimpleBeanPropertyFilter를 사용하여 필요한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포함하거나 제외할 수 있습니다. .. 2023. 8. 4.
[ Spring ] MappingJacksonValue 오늘은 Spring Framework에서 제공해 주는 MappingJacksonValue 클래스에 대해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MappingJacksonValue 란? MappingJacksonValue 는 JSON Serialization(직렬화)을 처리하는 데 사용되며, 주로 Spring MVC(혹은 Spring WebFlux)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Java 객체를 JSON으로 변환하거나, 반대로 JSON 데이터를 Java 객체로 변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Spring에서는 기본적으로 Jackson 라이브러리를 내부적으로 사용하여 JSOn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Jackson은 Java 객체를 JSON으로 변환하고, JSON 데이터를 Java 객체로 변환하는데 매우 효율적이고 강력한 라이브러리입니다.. 2023. 8. 3.
[ RESTful API ] 사용자 목록 조회를 위한 API 구현 - GET HTTP Method 오늘은 RESTful API 기반으로 사용자 목록 조회를 위한 API 구현을 해보겠습니다. 먼저 간단하게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코드 진행 해보겠습니다. RESTful API 란? RESTful API은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 약자로, 웹 서비스 디자인 아키텍처 중 하나로, 네트워크 아키텍처 원칙인 REST를 따르는 웹 API를 의미합니다. REST는 Roy Fielding이 2000년에 제안한 웹 아키텍처 스타일로, 웹의 기본 원칙을 따르며 간결하고 확장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RESTful API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자원 지향 (Resource-Oriented): RESTful API는 리소스(Resource)를 중심으로 설계됩니.. 2023. 7. 25.
728x90